
재미있게 읽는 초등학생 과학잡지 어린이과학동아: 막아라 6번째 대멸종 글 * 사진: 자유의 감옥

최신 과학 이슈 가득!!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초등학교 과학 잡지 어린이 과학 동아 2021.02.01NO.3

이번 호는 특히 3학년 1학기 교과 관련 기사가 많습니다.똑똑이에게 지적하고 꼼꼼하게 읽으라고 가만히 말해 두었습니다.
자석물질(3학년 1학기)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주기 / 네오디뮴 자석음의 성질(3학년 2학기) – 마이람엣홈 / 하모니 그래프 물체와 물질(3학년 1학기)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주기 / 3D 프린터 물질의 상태(3학년 2학기) – 과학뉴스 / 흑연동물의 일생(3학년 1학기) – 항아리곰팡이균 동물의 생활(3학년 2학기) – 과학뉴스 / 뱀의 이동법, 전기장어 지구의 모습(3학년)

특히 QR코드를 찍어보면 어과동TV 실험 영상을 볼 수 있어 보다 활용도가 높게 보입니다.

하지만 오늘의 토리냥이 가장 엄지손가락을 세워준 기사는 오로라 화보!
여행사진 웹사이트 ‘캡처 더 아틀라스’가 2020 오로라 사진 우수 작품 25개를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러시아, 캐나다, 아이슬란드 같은 북반구 지역에서 최남단 남극까지!! 오로라에서 빛나는 밤하늘을 사진을 보며 반짝반짝 감탄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여행을 가지 못하고 비행기를 타고 일본/호주/필리핀이 3국을 픽업해 놓은 똑똑한 여행 목록에 핀란드까지 추가!!

호수에 비친 오로라가 너무 아름다워서 엄마도 실제로 핀란드에 가서 눈으로 보고 싶은 마음이 가득해요.아무리 사실적으로 나오는 사진이라도 내 눈으로 직접 보면서 머릿속에 각인되는 느낌을 따라가기는 쉽지 않습니다.언젠가 정말 똑똑히 둘이서 오로라를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두번째 토리님 추천 기사!특집 기사 ‘막아라!’ 여섯 번째 대멸종 기사입니다.
멤모닷컴 사고뭉치스터디에서 멸종위기 동식물에 대해 이야기했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주의 깊게 기사를 읽었습니다.

이미 시작되었다고 과학자들이 말하는 6번째 대멸종!!
대량멸종은 생물종의 다양성이 단시간에 넓은 지역에서 감소하는 사건을 말합니다.

첫 변 멸종 (약 4억 4500만 년 전) : 빙하기 / 화산 폭발 86% 멸종 2회 멸종 (약 3억 7000만 년 전) : 빙하기 / 운석 충돌 75% 멸종 (약 2억 5200만 년 전) : 지구온난화 / 운석 충돌 / 화산 96% 멸종 4회 멸종 (2억 100만 년 전) : 화산 폭발 / 토지 사막화 80% 멸종 5회 멸종 (약 6600만 년 전) : 운석 충돌 / 화산 폭발 76% 멸종 … 여섯 번째 멸종 (약 100 년 전 ~ 현재) : 인류의 환경 파괴

과학자들은 이전까지 대량 멸종 후 새로운 종이 출현해 전체 생물 종수가 균형을 이뤄왔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대량 멸종과 새로운 종의 탄생에는 인과관계가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대멸종이 심각한 문제인데!! 일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무너지기 때문입니다 일종이 사라지면 다른 종이 사라지는 연쇄효과가 나타나 전 생태계가 흔들립니다.

대멸종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 이산화탄소 증가 2. 외래종 생태계 파괴 3. 인간이 버린 쓰레기 4. 인간이 동물의 서식지 파괴 5. 파편화된 동물의 서식지 6. 밀렵과 채취 7. 초신성(오존층 파괴) 8. 은하 주기(소행성, 혜성들의 충돌)
- 이런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대량 멸종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 그러나 분명히 인정해야 할 것은 여섯 번째 대멸종의 원인은 모두 인간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희망이 있습니다.
급직전의 과학으로 지구를 되살리는 연구도 진행·실행 중이며 생물의 기반을 되살리는 운동도 전 세계가 함께하고 있습니다.
토리씨도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해 보겠다고 말했습니다.

토리냥이 뽑은 세번째 기사는!!2021년 소미더는 뭐야? 특별상을 원해
아!! 어과동잡지 편집부의 타이틀센스!! 트리토의 추천으로 제목을 읽었더니 엄마 폭소가 터졌어요. ^^

최고의 흰소 찾기
하얀 소가 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는 똑똑한 양(노란 소나 젓갈만 생각한다)
로마뇨라 마르키히자나키아니나 샬로레
이렇게 다양한 백우 씨앗이 있다니 정말 신기했습니다.


그런데 우리 토종 백우는 푸대접을 받고 거의 사라졌다고 합니다.선청성 색소 결핍증인 알비노에 걸린 한국산 한우인데 일제 감정기를 거치면서 나쁜 잡종우로 잘못 알려져 사라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백우는 현재 25마리밖에 되지 않아 멸종위기종이지만 체세포 복제기술과 수정란 이식 등의 연구를 통해 멸종위기종 백우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토리코 어린이 과학 동아리로 주세요.
너무 재미있게 읽은 ‘슬기로운 동물원생 하루’의 수의사를 꿈꾸는 똑똑한 양, 열심히 메모하며 읽으며 지식을 쌓아가는데 마지막 회라니!!ㅠ.ㅠ

부디 다시 한 번 똑똑한 동물원 생활이 부활(?)되어 다시 한 번 동물원 동물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제는 생각하게 된 동물들의 복지에 대해서도 많은 지식을 나누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어린이과학동아잡지를 제공받아 토르토르 씨와 직접 읽은 후 작성한 솔직한 감상입니다.